7월 21일 월요일 스타트 브리핑입니다. <br /> <br />오늘 브리핑에선 지난 며칠 동안 전국을 할퀸 집중호우 관련 기사들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200년에 한 번 있을 폭우가 내리고, 기존의 패턴으론 설명이 어려운 '괴물 기후'가 일상이 됐죠. <br /> <br />서울신문은 도시 설계부터 다시 짜는 등 재난 대응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는 내용을 실었습니다. <br /> <br />폭염이 지나면 폭우가 퍼붓고, 이제 다시 한증막 더위가 예고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극단적인 더위와 폭우가 교차하는 것 자체가 기후 위기의 단면을 보여줍니다. <br /> <br />1970년대와 2020년대를 비교해 보면 폭염 일수는 2배 이상, 열대야 일수는 3배 이상 늘어났고시간당 100mm 폭우가 매년 덮쳐옵니다. <br /> <br />장마와 폭염, 태풍 모두 이전과는 구조 자체가 달라졌습니다. <br /> <br />과거의 재난 대응 시스템으로는 기후 위기 시대에 대처하기가 어렵다는 얘기죠. <br /> <br />예보가 다소 빗나가더라도 조기에 알리고오히려 과잉 대응을 하는 게 중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. <br /> <br />시간당 30mm 안팎 내리는 비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기존 배수 시스템은 전면 재설계하고요. <br /> <br />특히 하천 주변 펜션과 주택은 철저히 규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입니다. <br /> <br />저지대 지역에는 빗물 창고 같은 저장 탱크를 늘릴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뿐만 아니라 도로 옹벽 점검 기준을 강화하고, 방재 시설을 전면 점검하는 등 과제는 산적해 있습니다. <br /> <br />"괴물기후'가 뉴노멀이 된 만큼 예산도 더 빠르게 집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고요. <br /> <br />다음 동아일보입니다. <br /> <br />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가 경남 산청과 경기 가평을 할퀴었고 최소 10명이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이들 지역은 산사태 취약 지역 관리 대상이 아니었다고 하네요. <br /> <br />우리나라에서 산사태 피해가 얼마나 늘어나고 있는지, 또 왜 컸는지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산사태가 휩쓸고 간 산청의 한 마을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산청과 가평에선 막대한 재산 피해와 함께 인명 피해까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사망자가 나온 지역은 산사태 취약지역도, 안전 점검 대상도 아니었는데요. <br /> <br />인력이 부족해서 모든 산림을 점검하기 어려운 슬픈 현실입니다. <br /> <br />그럼 산사태 피해가 자주, 크게 발생한 원인을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국지성 집중호우가 늘면서 산사태 발생도 잦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5년간 산사태 피해 건수는 2,232건인데 이전 5년과 비교했을 때 3.4배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5072106293836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